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비투스4

'자본'에 대하여('아비투스') / 인간다움 / 행복에 이르는 길 / 행복에 이르는 단 한 가지를 묻는다면 아비투스는 오늘의 내가 있게 한 그 무엇이다. 아비투스는 라틴어로 '가지다, 소유하다, 간직하다'의 의미란다. 과거 내가 생각하고 배우고 경험한 것. 그래서 소유하고 간직한 그것이 오늘의 '나'인 것이고, 오늘의 내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내일의 '나'를 결정할 것이다. 저자는 이에 7가지 자본을 소개한다. 심리자본, 문화자본, 지식자본, 경제자본, 신체자본, 언어자본 사회자본. 흔히 자본이라 함은 어떤 상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수단, 자산을 의미한다. 무엇보다 경제자본이 우리 머리를 꽉 채운다. 물론 경제자본이 없으면 최소한의 인간다움을 유지할 수 없다. 그러나 7가지 자본을 보면서 나를 나되게 하는 자본. 나의 자존과 나의 존엄과 나의 실존. 나를 '나'되게 하는 자본. 7가지 자본도 엄밀히 말해 외.. 2022. 4. 16.
<아비투스 후기 2> 경제자본, 신체자본, 언어자본, 사회자본 / 성공적인 삶에 이르는 길 / 누구든 성공에 이르는 꿀팁 (P. 161) 경제자본 : 얼마나 가졌는가. 돈은 단지 욕구를 채워주는 수단에서 끝나지 않는다. 돈은 성과, 명성, 성공의 척도이기도 하다. 돈을 다루는 방식이 품격을 결정한다. 대를 이은 부자들은 재산만 물려받는 게 아니다. 그들은 돈을 투자하고 운용하는 방법을 저절로 배운다. 콘서트홀을 통째로 살 수 있어도 수준높은 음악에 대한 지적 소양은 돈으로 살 수 없다. 부유함도 학습이 필요하다. 부자로 인정받으려면 그에 맞는 품격을 갖춰야 한다. 재산총액보다 그걸 다루는 방식이 훨씬 중요하다. (P. 180) 부자되는 열쇠. 1.백만장자처럼 생각하라. 거시적 차원에서 계산하고 큰 그림을 본다. 2. 돈의 가치를 인정하라. 많은 사람이 부자되고 싶으나 부자를 높이 보지 않는다. 나쁘게 본다. 3. 구매유혹을.. 2022. 4. 14.
<아비투스 후기1> 아비투스란/ 심리자본, 문화자본, 지식자본 / 사회적 지위를 한단계 상승시키는 법 / 성공위한 기술과 꿀팁 도리스 메르틴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언어와 문학을 전공했고,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에서 영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언어에 대한 깊은 지식을 바탕으로 그 안에 담긴 코드를 분석하여, 인간의 언어·비언어적 태도와 개성을 잠재력, 성공과 연결시켰다. 1장 아비투스가 삶, 기회, 지위를 결정한다 2장 심리자본: 어떻게 생각하고, 어디까지 상상하는가 3장 문화자본: 인생에서 무엇을 즐기는가 4장 지식자본: 무엇을 할 수 있는가 5장 경제자본: 얼마나 가졌는가 6장 신체자본: 어떻게 입고, 걷고, 관리하는가 7장 언어자본: 어떻게 말하는가 8장 사회자본: 누구와 어울리는가 (P. 20) 아비투스란. 프랑스 사회철학자 '피에르 부르디외'가 명명한 용어. '가지다, 보유하다, 간직하다'라는 뜻으로 라틴.. 2022. 4. 13.
<독서는 삶의 무기. 제7장 독서로 인한 재탄생 서평> 진정한 나를 발견하는 독서 / 아비투스를 한단계 높임 / 진정 겸손에 이르게 하는 독서 1. 아비투스 김연자 아모르파티는 라틴어로 운명을 사랑하는 뜻이다. 운명을 받아들이되 어려움에 굴복이 아닌 고차원적이고 적극적 방법으로 삶의 태도와 목표를 가지라는 멋진 의미이죠 ㅎㅎ 피에르 부르디외는 아비투스 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계급이나 계급분파의 관행을 생산하고 재생산하며 지속적으로 생성력을 가지는 원칙을 말함. 자신의 현재의 아비투스를 벗어나 한단계 더 높은 꿈을 꾸게 된다. (데미안)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새의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독서는 다른 아비투스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그 길을 가르쳐 주고 지혜라는 무기를 쥐여 준다. 그래서 새로운 아비투스 속으로 스며들어 갈 것이다. 2. 독서는 나를 깨우는 작업. 독서는 나를 깨우는 과정이다. 독서할 때 자신이 경.. 2022.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