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황농문3 '뇌과학으로 본 몰입'(화두가 있는 칼럼)/‘몰입2’(저자 황농문)/엔트로피법칙/슬로우씽킹/뇌의 목표지향 메카니즘 이 책은 몰입의 권위자 서울대학교 황농문 교수의 작품이다. 사람은 누구나 몰입해서 뭔가를 하기를 원한다. 그런데 의의로 몰입하는게 쉽지 않다. 바쁘기도 하고, 여러가지 사정으로 실패한 경험이 누구에게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뇌과학 측면에서 몰입을 생각해본 것이 특별했다. 고등학교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한창 대학 학력고사를 준비할 때였다. 낮수업이 끝나고 나면 곧바로 이어지는 야간자율학습, 야자! 그런데 공부는 잠시, 곧 야간 탈출로 이어졌다. 공부에 대한 짓눌린 강박관념때문일까. 영혼의 탈출구가 필요해서일까. 암튼 공부에 몰입하기 어려웠다. 생각해보면 이는 나에게만 해당되는게 아니었다. 주위 친구들도 비슷했다. 그들도 말은 안했지만 눈빛만으로 알 수 있었다. 우리는 그렇게 고3시절을 교실이 아닌 곳에.. 2022. 7. 27. ‘몰입2’(저자 황농문) 후기 3/두뇌활용법의 핵심/몰입과 아이디어/직장생활에서 몰입활용법/고민과 생각의 차이 몰입과 영성의 친밀한 관계 누군가를 사랑하면 다량의 도파민과 긍정적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된다. 사랑의 감정이 더 강해지면 신성함을 느끼고 이는 종교적인 감정에 가까워진다. 긍정적 화학물질이 분비되면 긍정적 감정이 생긴다. 이때 우리 뇌는 우리가 긍정적 감정을 갖게 된 합당한 이유를 찾는다. 뇌과학에 의하면 우리 뇌는 감정과 현실을 일치시려는 경향을 갖는다고 한다. 내가 우울하면 세상이 어둡게 보이고, 내가 즐거우면 세상이 밝게 보이는 것이다. 나는 연구에 몰입하면 연구의 세계뿐 아니라 이 세상 전체가 아름답게 보이는데 이 역시 긍정적 화학물질의 분비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경험은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데 있어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행복한 감정은 뇌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과 밀접한 관계가.. 2022. 7. 11. '몰입"(저자 황농문) 후기 1 / 최고의 삶을 선사하는 두뇌활용법 / 인생의 완성도를 높이는 자기혁명 제목 : 몰입 두 번째 이야기 - 인생의 완성도를 높이는 자기 혁명 (Think Harder : 골똘히, 열심히 생각하기) 저자 : 황농문(서울대 금속공학과 교수) 최고의 삶을 선사하는 두뇌활용법 내가 소개하는 몰입은 단 1초도 다른 생각을 하지 않고 오로지 풀리지 않는 문제에 대한 생각만 하는 극단적인 시도를 지속한 끝에 펼쳐지는 새로운 정신세계다. 몰입은 문제 해결이나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그리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실천 가능한 두뇌활용법이다. 몰입은 의식이 산만하지 않은 고도로 질서 정연한 상태로 분명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다. 의식의 엔트로피가 낮은 상태. 따라서 몰입에 대한 이해는 뇌과학과 엔트로피 법칙으로 접근된다. 하루하루 기적과 같은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와 감격하고 또 그것이 몇 달간 혹.. 2022. 7.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