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감2 잡프렌드/취업준비의 친구가 되면서(2) / 토론면접 / 공감 / 존중과 이해 / 지인의 입사를 위한 서류전형이 통과되었다. 2차는 실기면접. 그 중에 집단토론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고 한다. 집단 토론은 응시자 여러 명이 하나의 주제로 토론한다. 물론 토론의 주제에 대해 어느 정도 지식을 갖고 있는지도 중요하다. 그러나 그 보다는 토론면접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게 중요하다. 사람은 집단을 이루어 생활한다. 한마디로 사회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이 사회성이다. 토론면접은 바로 여럿으로 구성된 사회 아니던가. 바로 사회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회사도 결국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는 곳이기 때문. 그래서 사회생활이라 하지 않는가. 그러므로 토론면접을 통해 사회성 유무를 검증하는 것이다. 첫째, 공감의 자세. 같은 토론 조의 멤버들을 만날 때부터 토론면접은 시작인 것을 유의해라. 그들을 같.. 2023. 5. 26. 책읽기. 글쓰기. 말하기. / 화두독서법으로 소개하기 책읽기는 '발견' 글쓰기는 '창조' 말하기는 '공감' 결론적으로 내 삶의 '스토리'다 책읽기는 글쓰기와 말하기를 병행할 때 최고의 효과가 있다. 읽은 것을 글로 쓸때 반복학습의 효과로 무의식의 저장공간에 저장되고 말할 때 진정 내 것이 되기 때문이다. 허필선 작가님의 책을 읽은 후 직접 만나고 강의를 들으면서 책읽기, 글쓰기, 말하기에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허필선 '독서는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책읽기는 발견이다 나를 발견하고, 보이는 세상 너머 세상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강원국의 글쓰기' 글쓰기는 창조다. 책을 통해 얻은 화두로 내 삶의 스토리와 만나 새로운 것을 창조하기 때문이다. 김윤나의 '말그릇' 말하기는 공감이다. 글쓰기를 통해 창조한 것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때문이다. 2022. 4.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