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글쓰기10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글쓰기란 무엇인가/글쓰기방법/글쓰기는 기능,삶으로 쓴다/글쓰기 전략 글쓰기는 운전연습괴 같은 기능이다. 많이 쓰고 연습할수록 실력이 는다. 잘 살아야 타인과 공감하며 느낄 수 있어 삶으로 쓴다. 다독, 다작, 다상량은 물론이다. 저자가 권하는 추천도서 32권이 각별하다. 저자 : 유시민 제목 :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멋진 문장을 구사한다고 해서 글을 잘 쓰는게 아니다. 읽는 사람이 글쓴이의 마음과 생각을 느끼고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써야 잘 쓰는 것이다. 그렇게 하려면 표현할 가치가 있는 그 무엇을 내면에 쌓아야 하고, 그것을 실감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흔히 글쓰기도 방법을 배우면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다. 방법을 배우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몸으로 익히고 습관을 들여야 잘 쓸 수 있다. 글쓰기는 그런 면에서 자동차 .. 2022. 9. 15. '10권 읽고 1000권의 효과를 얻는 책읽기 기술' 후기2. / 통합의 독서방식 / 독서방법의 꿀팁 / 관찰, 탐구, 사색 제3장. 10권의 책으로 1,000권의 효과를 얻다. 제4장. 단 한 줄에도 1,000권의 깊이가 담기는 글쓰기 제5장. 10권의 책읽기, 240일간의 자기혁명이 되다. (P. 137) 행복한 읽기를 위한 준비 .즐기는 마음을 회복할 것 .집에 읽을 책이 있다면 더는 책을 사지 말 것 .책장에서 버릴 책은 과감히 정리할 것. .방을 정리하여 차분히 읽을 수 있는 읽기 공간확보 .하루 10분이라도 규칙적으로 읽을 수 있는 장소, 시간 확보 (P. 144) 단계별 독서법 한 권의 책을 기본적으로 세 번을 읽는다. 단, 여행기나 역사를 다룬 책의 경우 배경이 된 장소를 직접 찾거나 오감으로 읽기때문에 네 번을 읽는 셈이다. 반복해서 읽는다는 것은 반론의 여지가 없는 최고의 읽기습관이다. 처음 읽었을 때는 안다.. 2022. 4. 23. 책읽기. 글쓰기. 말하기. / 화두독서법으로 소개하기 책읽기는 '발견' 글쓰기는 '창조' 말하기는 '공감' 결론적으로 내 삶의 '스토리'다 책읽기는 글쓰기와 말하기를 병행할 때 최고의 효과가 있다. 읽은 것을 글로 쓸때 반복학습의 효과로 무의식의 저장공간에 저장되고 말할 때 진정 내 것이 되기 때문이다. 허필선 작가님의 책을 읽은 후 직접 만나고 강의를 들으면서 책읽기, 글쓰기, 말하기에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허필선 '독서는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책읽기는 발견이다 나를 발견하고, 보이는 세상 너머 세상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강원국의 글쓰기' 글쓰기는 창조다. 책을 통해 얻은 화두로 내 삶의 스토리와 만나 새로운 것을 창조하기 때문이다. 김윤나의 '말그릇' 말하기는 공감이다. 글쓰기를 통해 창조한 것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때문이다. 2022. 4. 1. '강원국의 글쓰기' 제2장 후기/ 남과 다른 글은 어디서 오는가 / 공감과 사랑이 중요하다 / 나만의 글 쓰는 법 목차 내 친구는 어떻게 고위 공직자가 됐나: 창의가 만들어지는 길목 나는 딴짓이 더 재밌다: 아는 게 없으면 보는 것으로 쓴다 평소 쓰기 위한 네 가지 도구: 독서, 토론, 학습, 메모 호기심 많던 어린아이는 어디 갔을까: 글쓰기는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것 눈 옆에 경련이 일었다: 잃어버린 감정을 찾아서 웃기는 사람이 되기로 마음먹은 이유: 재미없는 글은 왜 쓰는가 당신의 아내 세상에서 몇 번째로 예쁩니까: 생각이 잘 나는 15가지 편의점 남자를 보고 왜 눈물이 핑 돌았을까: 당신의 공감 수준은? 절박함은 방탄유리도 뚫는다: 그럼에도 당당하게 모방하자 주요 내용 1. 내 친구는 어떻게 고위 공직자가 됐나 : 창의가 만들어지는 길목 어떻게 창의성을 키울까? 첫째, 융합이다. 이연현상이란게 있다. 서로 관련없.. 2022. 3. 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