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뇌과학2

'뇌과학으로 본 몰입'(화두가 있는 칼럼)/‘몰입2’(저자 황농문)/엔트로피법칙/슬로우씽킹/뇌의 목표지향 메카니즘 이 책은 몰입의 권위자 서울대학교 황농문 교수의 작품이다. 사람은 누구나 몰입해서 뭔가를 하기를 원한다. 그런데 의의로 몰입하는게 쉽지 않다. 바쁘기도 하고, 여러가지 사정으로 실패한 경험이 누구에게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뇌과학 측면에서 몰입을 생각해본 것이 특별했다. 고등학교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한창 대학 학력고사를 준비할 때였다. 낮수업이 끝나고 나면 곧바로 이어지는 야간자율학습, 야자! 그런데 공부는 잠시, 곧 야간 탈출로 이어졌다. 공부에 대한 짓눌린 강박관념때문일까. 영혼의 탈출구가 필요해서일까. 암튼 공부에 몰입하기 어려웠다. 생각해보면 이는 나에게만 해당되는게 아니었다. 주위 친구들도 비슷했다. 그들도 말은 안했지만 눈빛만으로 알 수 있었다. 우리는 그렇게 고3시절을 교실이 아닌 곳에.. 2022. 7. 27.
‘몰입2’(저자 황농문) 후기 4/몰입과 엔트로피 법칙/뇌과학/슬로우 씽킹과 신경전달물질 모든 자연 현상은 엔트로피 법칙에 따라 본질적으로 무질서도가 증가한다. 생각의 흐름도 예외는 아니다. 그런데 이를 거꾸로 하는 것,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몰입이다. 칙센트미하이는 "몰입도가 증가하면 의식의 엔트로피는 감소한다"고. 여기에 몰입에 따라 정보와 감정이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를 위한 '시냅스'작용과 우리 뇌와 관련한 화학, 신경전달물질들과 역할을 살펴보자. 몰입과 엔트로피, 그리고 뇌과학 자연현상이나 생명현상이 예외 없이 자연법칙을 따르듯이 우리의 삶 역시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 법칙대로 흘러간다. 이러한 법칙을 올바로 이해하고 활용할 때 비로소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삶을 통제할 수 있다. 이 법칙 중 하나가 엔트로피 법칙이.. 2022.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