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 직장생활 멘토링

<취업 성공전략. 취업준비 이렇게> 나의 스펙보다 회사를 더 잘 아야 / 구체적인 취업준비 방법 / 취업 꿀팁, 성공노하우

by 100점짜리 인생 2022. 1. 27.
반응형

지난 번 소개한대로 취업준비과정에서 나의 스펙 쌓는데만 올인하기 쉽다.

하지만 그보다는 구체적 회사의 비전과 미션 등, 대표의 경영철학,
채용부서 업무 특징 등을 잘 살펴보아야 함을 이야기했다.

이번에는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해 보고자 한다.

<회사의 비전과 미션, 핵심가치>


비전은 해당 회사가 국가와 사회적 역할을 인식하고 결국 국가와 국민, 사회에 대한
회사의 목표가 담겨있다.

2000년대, 특히 코로나 19로 인해 ESG 등 사회적 공공적 가치 실현이 중요해졌다.
회사의 설립목적이 이익의 실현도 있지만 이제는 사회적 가치 실현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예시 :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동반자, 국민과 함께 하는 파트너 등)


미션은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위(업무) 등이 담겨 있다.
(예시 : 주거안정, 000 개발, 000구축 등)

핵심가치
융합, 혁신, 소통, 화합, 신뢰 등

<대표의 경영철학>
대표 또는 회장의 인사말에는 회사 최고경영자의 경영철학이 담겨있다.
그것은 회사 구성원이라면 어떤 인재가 되어야 한다는 인재상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 적용>
따라사 이를 종합해 보면서 취업준비생은 하나 또는 최대 둘의 인재상을 결정해야 한다.
"소통"인지, 아니면 "화합", "융합" 등...

특히 4차산업혁명시대의 도래와 함께 산업간 융복합이 일어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융.복합적 마인드 인재가 요청된다(사견)


<채용부서 업무>
그리고 실무적으로 채용부서의 업무내용 그리고 해당 업무 수행에
어떤 업무능력이 필요한지 체크해야 한다.

회계, 기획, 법률, 마케팅, 교육에서부터
민간기업과 공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해당 업무와 관련해서
창의성, 꼼꼼한 섬세함, 소통 등 이 가운데서

(예시) 나는 "창의적 인재"다.
이와 같이 어떤 인재상으로 준비할 지
핵심키워드를 결정 한다.


특히 공기업은 사회적 공적 역할이 민간기업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공공적, 서비스 마인드가 있는 인재상을 원한다.

이를 기초로 자기 소개서와 면접을 준비할 때
이런 키워드가 일관성있게 드러나도록 해야
취업 성공의 확률이 높아진다.

자기소개서, 면접 코너에서 구체적으로 사례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이상 리뷰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