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우리는 무엇을 볼 것인가.
요즘 아웃도어 스포츠의 인기가 높다. 한겨울에도 마라톤, 산악자전거, 파도타기 등 마니아들은 강추위를 무색하게 할 정도다. 이런 그들을 더욱 매료시키는 게 바로 미디어 디바이스의 고화질, 고성능 기술이다. 360도 회전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이 가능하고 먼 거리에서 입체적 촬영이 가능한 드론의 기술은 황홀하기까지 하다. ①
그러나 어디 AI 기술에 비할 수 있으랴.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도 AI의 혁신기술을 보노라면 가히 혁명적이다. 국내 보험사가 최초 개발한 AI 휴먼은 딥러닝 기반의 영상 합성기술을 통해 사람과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다. 그뿐인가. 대기업 모회사가 개발한 가상 인간은 정식 가수로 데뷔하고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1만 명이 넘는다고 한다. 물론 이런 기술은 저비용, 고효율의 경제학적 측면에서 100세 시대 건강한 삶을 위한 생명공학적 측면에서 보면 무척 고무적인 일이다.②
하지만,③ 코로나19 팬데믹은 AI 기술발전에 있어 무엇을 볼 것인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술 개발과 발전에 도리어 인간다움과 그 삶이 무너지는 것을 목도하고 있다. 아이러니하다. 인간다운 삶의 본질적 가치를 무시한 채 비인간적인 기술발전, 탐욕적이고 무분별한 개발의 결과이다. 스마트하고 초지능 IOT 건물이면 무엇하랴. 본질적으로 기초가 부실하면 무너질 것을. 아무리 화려하고 많은 열매를 맺는 나무인들 무엇하랴, 뿌리가 약하면 무너질 것을.
지난해 ④ 전문 교육기관에서 관리자 과정을 이수한 적이 있다. 리더십과 소통, 성과 달성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배웠다. 그러나 이런 기술보다도 더 가슴 깊이 다가온 것이 있다. 사람은 성과달성을 위한 수단과 부품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중요하다라는 것을.
백범 김구 선생이 1947년 발표한 "나의 소원"에는 우리 민족에 대한 소원과 그의 혜안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특히 기술을 가르치되 본질적으로 철학의 기초로 해야 한다고 한 부분이 특별하게 다가온다. 그렇지 않을 때 그 기술이 도리어 인간에게 해가 된다고. AI 시대, 그의 혜안이 필요하다.
<전문가의 코치>
1. 일단 칼럼 길이가 짧다. 글쓴이의 주장을 설득력있게 하기엔 너무 짧다. 1페이지하고 그다음 페이지 6줄까지는 쓰도록
2. 문맥과 흐름의 자연스러운 연결. 단락별 문맥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하라. 글의 전개가 상호 연계가 있게 하라.
3. 단어의 선택과 사용 :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명확히 알고 사용하라. 중복되는 단어의 사용을 지양하라.
4. 칼럼리스트 전문가의 단락별 설명
① 기술발전의 사례를 내가 좋아하는 스포츠로 선정. 부담없이 자연스럽게 하려고. 다만, 기술발전의 긍정적 측면을 살리는 사례로는 부적절하다. 생명공학적 측면의 바이오 기술 사례로 하도록 / 드론의 예를 들며 "촬영이 가능하고, 먼거리에서 입체적 촬영이 가능..." 촬영 가능이 두 차례 반복되는 것은 수정 필요 /
② 기술발전의 사례가 100세 시대 건강한 삶을 위한 생명공학적 측면에서 고무적인 일인가를 설명하고 있는지 의문. / 혁신과 혁명의 비슷한 단어 선택 지양 / 혁신과 혁명의 정확한 사전적 의미를 확인하라
③ 갑자기 코로나 19 팬데믹 이야기가 나옴. 뜬금없게 느껴짐 / 왜 시사하는 바가 큰지 / 인간다움과 삶이 무너지는 것을 목도한다. 이유가 불분명함 / 기초와 뿌리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설명이 없음. 뿌리와 기초가 무엇인지 앞서 설명하고 비유를 들어야 설득력 있겠죠 ㅎㅎ / 독자를 설득할 수 없음.
④ 전문교육기관의 실명을 밝히는 것도 좋다 / 어느 관리자과정인지. 관리자과정이 다양함 / 갑자기 성과달성을 이야기 함. 뜬금없음.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을 하라. /
이상 리뷰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