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뇌의항상성2

'호모 엑스르켄스'/ '1만 시간의 재발견'/ 앤더스 에릭슨/심적표상/뇌의 항상성 '1만 시간의 재발견'은 1만 시간법칙을 제안한 '앤더스 에릭슨'의 두번째 책이다. 과연 '1만 시간 채우기만 하면 되는가' 꼭 1만 시간인가? 그렇지 않다. 목표를 달성하고 성공적인 삶을 위해서는 물리적 시간보다도 '의식적인 연습'이 더 중요하다. 여기에는 3F가 요구된다. 집중Focus, 피드백Feedback, 수정Fit 이다. 또한 무슨 일이든 사람은 시각화하려한다. 그러므로 심적 표상(시각적 이미지) 형성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뇌는 높은 적응력, 항상성 메카니즘이 있다. 이를 믿고 안전지대에서 벗어나 학습지대로 나가야 한다. 산악자전거와 인연을 맺은지 어언 10년이 훌쩍 흘렀다. "산에서 왠 자전거를 탄단말인가" 하며 산악자전거를 구입한 이후에도 산에는 얼씬도 하지 않았다. 고정관념은 그렇.. 2022. 6. 23.
'1만시간의 재발견'-노력은 왜 우리를 배신하는가' 후기1/ 서문,1장,2장/노력, 시간이 아니라 방법이다/뇌의 항상성, 적응력/의식적있는 오늘은 1만시간의 법칙을 쓴 앤더스 에릭슨의 작품, 1만시간의 재발견 중 1장과 2장을 공유합니다. 절대적인 1만시간 보다 방법의 중요성(의식적 연습), 우리 자신(특히 뇌의 적응력, 항상성, 피드백 매카니즘 등)의 이해가 중요하네요^^ 제목 : 1만시간의 재발견 저자 : 앤더스 에릭슨, 로버트 폴. - 타고난 재능은 없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가 그 재능을 가지고 태어나며, 올바른 접근법을 통해서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절대음감 자체가 타고난 재능이 아니라, 절대음감을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 타고난 재능이다. 그리고 거의 모든 사람이 이런 재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말해도 무리가 없다. 1990년대 이후 뇌 연구자들은 인간의 뇌가 그동안 생각해온 것보다 훨씬 적응력이 .. 2022.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