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두잉클래스6 '성과독서' 책 발간/씨앗과 나눔/더불어 행복한 숲/두잉클래스/책쓰기 도전 2022년 1월 초 시작해서 100일간 5권의 책을 읽고 5편의 칼럼을 쓰는 여정. 그 결과물로 '성과독서'-경험이 칼럼이 되는 지식콘텐츠 2022. 7. 18. 발간되었다. 18명이 각 4개조로 모여 완독 후 토론하고 하나의 주제를 정해 칼럼 쓰면 전문 코치님이 수정 자문해 주셨다. "씨앗과 나눔" 나의 작은 경험은 씨앗처럼 작다. 그러나 씨앗은 생명력이 있다. 심으면 자라고 잎이 나고 열매를 맺는다. 그러므로 이런 씨앗을 나누면 이웃과 더불어 행복한 숲이 될 것이다. 그 숲이 한여름 뙤약볕의 그늘처럼 시원함과 힐링 주리라 기대된다. 앞으로 취업과 사회생활멘토링 직장인의 글쓰기 직장생활에서 관계 맺기 위 분야에 대해 글을 써 보고 싶다. 나의 작은 경험을 다눔하여 다 함께 행복하기를 소망해 본다. 성과.. 2022. 7. 19. <두잉클래스 미디어성과독서 2기 종료 후기> 한알의 씨앗,다함께 나눔 / 5권의 책읽고 칼럼 쓰기 / 전문 칼럼리스트 일대일코칭 공저출간 / 2022년 1월 첫주부터 시작한 성과독서 2기모임이 지난 3월말에 종료되었다. 100일간 5권의 책을 읽고 5개의 컬럼을 쓰는 대장정이었다. '지식, 사고, 성장, 성공, 성공' 5개 분야의 책 ^^ 2주에 걸쳐 책을 읽고 컬럼을 쓰는 과정 이다. 22명이 모여 각자의 심장으로 자신의 스토리를 담은 '성과독서' 곧 책으로 출간예정. 성과독서 모임을 마치면서 '한알의 씨앗' '다함께 나눔' 두 개의 단어가 남는다. 작은 씨앗같은 나의 글 한 권의 책이기에... 나의 작은 경험들을 다함께 나누는 나눔의 장이기에... 나도 행복하고 너도 행복하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꿈꾼다. 2022. 4. 14. '이제부터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콘텐츠 머니타이제이션'/나로 살아가는 삶 / 넬슨만델라 / 개별성 / MZ세대 레이블링 콘텐츠 머니타이제이션 / 이제부터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 세월이 흘러가면 어디로 가는지 나는 아직 모르잖아요. 1980년대 중반 큰 인기를 얻은 이문세 ”나는 아직 모르잖아요“의 일부다. 당시 원하는 대학의 입학 실패는 곧 인생 실패로 다가왔다.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는 내 인생과 흡사해서 얼마나 자주 불렀는지 모른다. 고등교육을 받고 졸업까지 했지만 명문대학과 좋은 성적만이 인정받는 세상의 기준 앞에 '나'란 존재는 없다시피 했다. 명문대학에 입학한 친구와의 비교의식만이 내 영혼에 남았다. 우리 사회에서 부동산은 늘 폭발력 높은 사회 이슈다. 특히 젊은이들의 아파트 투자 열기가 뜨겁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2021년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 건수를 분석한 결과 2030 세대(20.. 2022. 3. 1. <성과독서 2기 모임 후기>콘텐츠 머니타이제이션 / 콘텐츠 수익화의 길/돈이 되는 콘텐츠는 어떤 것일까 미디어 성과독서 4주차 모임이 2022.2.20(일)에 있었다. 이번에는 "콘텐츠 머니타이제이션(수익화)" 책(저자 김용태)을 갖고. 정진일 그랜드마스터의 리뷰, 소감 및 토론(조별, 전체), 최원일 코치의 칼럼 특강 순으로 이루어졌다. 정진일 그랜드 마스터의 리뷰 (돈되는 콘텐츠는 따로 있다) 바야흐로 콘텐츠의 시대다. 특히 코로나19 비대면 시대 진입으로 인한 소셜미디어활성화로 유, 무형의 다양한 콘텐츠가 쏟아져 나왔다. 그런데 다양한 콘텐츠가 있다고 해서 그 콘텐츠가 빛을 발하고 수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럼 어떤 콘텐츠가 수익화 할 수 있을까? 이를 위해 먼저 콘텐츠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야 한다. 콘텐츠는 제3자가 돈을 주고서도 구입하고 싶은 상품이다. 내 관점이 아니라 제3자적 관점 즉 .. 2022. 2. 2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