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죽음2 '시'(봄)/'죽음, 생명의 또 다른 이름'/ 부활 / 중년의 시인 / 겨울 죽음 / 겨우내 죽어버린 듯 잿빛 세상. 푸른 빛깔, 멋진 몸매를 뽐내던 나무도 화려한 잎들 떠나보내고 앙상한 마른 몸에 회색옷으로 갈아입었다. 푸른 풀, 들꽃 출렁이던 들판도 바짝 말라버린 잎들과 먼지만이 나뒹군다. 그렇게 겨울은 우리에게 만물이 죽어버렸다고 말하는 것 같다. 초라하게 끝나는 것이라고. 하지만 초록으로 피어오르는 산야, 동토를 뚫고 올라오는 나물들을 보라. 떨어진 잎사귀와 씨앗은 이듬해 새로운 푸른 잎들과 꽃으로 태어난다고 노래하고 있다. 겨울되어 죽은듯 하지만 죽은게 아니라고, 그렇게 끝난게 아니라고. 푸른 잎사귀와 멋진 꽃들 다 떨어진 나무처럼 휘어지고 메마른 앙상한 몸 힘없이 겨우 지탱하는 볼품없어진 내 영혼 또한 추운 겨울처럼 느껴질 때. 겨울이 되고 봄이오는 길목에서 죽음은 생명, 부활.. 2023. 4. 16. 슬픈 비보와 넘쳐난 장마 속 빗물 / 갑작스런 슬픔을 이기려면 / 이별과 사랑 오늘은 참 슬픈 날이고, 비는 슬픔 때문인지 종일 내린다. 아침 출근길에 카톡이 하나 왔다. 부고였다. 열어 보니 전에 같이 일했던 공무원의 부인상이었다. 40세를 갓넘은데다 어린 아이둘 남편인 공무원의 마음이 어떨까 생각하니 출근길이 먹먹했다. 비가 계속해서 하늘 뚤린듯 내렸지만, 반드시 가서 함께 해야겠다는 생각뿐. 얼른 업무를 마치고 빗속을 뚫고 택시를 타고 한강을 건너는데 시뻘건 흙물이 한강 자전거길을 덮쳤다. 순식간에 물이 불어나고 있던 길도 집어 삼켜버린 장마. 아내를 잃은 것도 그것이 그렇게 슬픈 것도 갑작스럽게 다가온 것 때문이리라. 예고없이 순식간에 마치 장마가 자전거길을 덮치듯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가족 한 사람 주변의 있는 사람들을 더욱 사랑해야겠다. 헤어.. 2022. 6.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