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집중3

‘원씽’ / 복잡한 세상을 이기는 단순함의 힘 / 한 가지에 집중하라 제목 : The One Thing: The Surprisingly Simple Truth Behind Extraordinary Results. 저자 : 게리켈러, 제이 파파산 옮김 : 구세희. 두 마리 토끼를 쫓으면 두 마리 다 잡지 못할 것이다. 습관은 또 다른 습관을 낳고 성공은 또 다른 성공을 가져온다.(승자효과) 직업적인 맥락에서 나의 단 하나는 내가 가진 지식과 경험을 전달하고 사람들과 공유하는 일이다. ~~~ 여러분들이 더 적은 일을 통해 더 많은 일을 해낼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자신의 초점을 더욱 좁힐 수 있는 통찰을 얻고 각자가 원하는 탁월한 성과를 이루어 내길 바란다 13페이지 가장 힘든 길을 가려면 한 번에 한 발씩만 내딛으면 된다. 단, 계속해서 발을 움직여야 한.. 2023. 9. 2.
‘몰입2’(저자 황농문) 후기 4/몰입과 엔트로피 법칙/뇌과학/슬로우 씽킹과 신경전달물질 모든 자연 현상은 엔트로피 법칙에 따라 본질적으로 무질서도가 증가한다. 생각의 흐름도 예외는 아니다. 그런데 이를 거꾸로 하는 것,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몰입이다. 칙센트미하이는 "몰입도가 증가하면 의식의 엔트로피는 감소한다"고. 여기에 몰입에 따라 정보와 감정이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를 위한 '시냅스'작용과 우리 뇌와 관련한 화학, 신경전달물질들과 역할을 살펴보자. 몰입과 엔트로피, 그리고 뇌과학 자연현상이나 생명현상이 예외 없이 자연법칙을 따르듯이 우리의 삶 역시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 법칙대로 흘러간다. 이러한 법칙을 올바로 이해하고 활용할 때 비로소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삶을 통제할 수 있다. 이 법칙 중 하나가 엔트로피 법칙이.. 2022. 7. 13.
‘몰입’(저자 황농문) 후기2/목표달성/뇌의 목표지향 메커니즘/슬로우 씽킹 목표 달성을 이끄는 몰입 효과 밤에 잠이 들면 우리 뇌의 해마에서 하루 종일 입력된 정보를 선별하는 작업이 이뤄진다. 생존에 필요 없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정보는 폐기처분하고,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는 장기기억으로 보낸다. 그렇다면 해마는 무엇을 기준으로 정보의 중요도를 가려낼까? 그 정보가 입력될 당시 자극의 세기, 정보가 들어올 때 놀라거나 즐거워하는 경우다. 자극의 세기가 강하지 않더라도 정보가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해마는 중요한 정보라고 판단해서 장기기억으로 보낸다. 그러므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나 깨나 생각하는 몰입은 극단적으로 정보를 반복해서 입력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우리 뇌의 목표지향 메커니즘 목표에 대한 다짐이나 결심이 단 한 번에 그치는 것은 그다지 효과가 없다. .. 2022.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