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BOOK REVIEW89

<독서는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책은 꿈꾸게 한다 / 책과 비전 / 독서가 좋은 이유 이 책을 읽고 유대인의 하브루타 토론, 글쓰기, 스피치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우리나라는 객관식 정답맞추기 식 교육으로 점철되어 있다. 다양한 자기 의견을 내세우는 창의성이 부재하고 질문이 없다. 그러므로 유대인의 하브루타 독서법이 필요한 때다. 우리만의 옷을 입혀서...(어떻게 입혀야 되나??? ㅋㅋ) 아무튼 배움과 질문, 다양성과 창의성을 배우는 하브루타 독서 ㅎㅎㅎ 또한 글쓰기는 깊은 생각을 하게 한다. 하나의 주제를 갖고 한 페이지를 쓰는 훈련을 하면 어떨까. 글쓰기는 논리력, 사고력, 종합적인 분석력 등 그 장점과 효과가 무궁무진하다. 거기에 정약용의 초서처럼 나의 경험을 담아 쓰면 더할나위 없는 나의 스토리가 된다. 그 스토리는 나의 자산이 되고 그 스토리가 쌓이면 무한한 빅데이터가 되겠지요. .. 2022. 2. 3.
<칼럼1 AI는 인문학을 먹고 산다> 칼럼리스트 최원대 전문가의 깨알 코치를 받다 / 칼럼쓰는 법 / 글쓰기 방법 / 인간의 본질적 가치 / AI시대, 우리는 무엇을 볼 것인가. 요즘 아웃도어 스포츠의 인기가 높다. 한겨울에도 마라톤, 산악자전거, 파도타기 등 마니아들은 강추위를 무색하게 할 정도다. 이런 그들을 더욱 매료시키는 게 바로 미디어 디바이스의 고화질, 고성능 기술이다. 360도 회전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이 가능하고 먼 거리에서 입체적 촬영이 가능한 드론의 기술은 황홀하기까지 하다. ① 그러나 어디 AI 기술에 비할 수 있으랴.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도 AI의 혁신기술을 보노라면 가히 혁명적이다. 국내 보험사가 최초 개발한 AI 휴먼은 딥러닝 기반의 영상 합성기술을 통해 사람과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다. 그뿐인가. 대기업 모회사가 개발한 가상 인간은 정식 가수로 데뷔하고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1만 명이 넘는다고 한다. 물론 이런 .. 2022. 2. 3.
‘무엇을 볼 것인가’/'AI는 인문학을 먹고 산다' (한지우 저자)/칼럼 수정/ 인간의 본질 / 인간이란 무엇인가 / 인간다운 삶 AI 시대, 우리는 무엇을 볼 것인가. 최근 의료기술 분야의 발전은 놀랍다. 로봇을 활용한 수술과 재활기술이 대표적 사례다. 다빈치는 몸 안에 직접 삽입되는 로봇으로서 시술자가 직접 시술하는 것과 같이 수술한다. 시술자에게 10배~15배 확대된 입체영상을 전달하고, 시술자의 움직임을 5㎜~8㎜의 작은 로봇 팔에 전달함으로써 기존의 불가능했던 수술을 가능케 했다. 이외에도 제어기능, 로봇 내시경으로 최소한의 부위 수술로 높은 수술성공률과 함께 재활속도도 빠르다. 그러나 어디 AI 기술에 비할 수 있으랴. 국내 보험사가 최초 개발한 AI 휴먼은 딥러닝 기반의 영상 합성기술을 통해 사람과 실시간 대화까지도 가능하다. 그뿐인가. AI가 음식 조리도 직접하고 손님에게 배달까지 한다. 이런 기술발전은 인간의 삶을 .. 2022. 2. 3.
<독서는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서평 종합 / 독서 책읽기의 바이블 끝판왕 왕도 / 아비투스의 지름길 1. 독서의 목적 (새로운 세상 발견, 나를 깨달음) 독서는 책 속의 전혀 다른 세상을 만나는 과정이다. 그리고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을 바라보는 힘도 시각도 생기게 한다. 나아가 다른 세상으로 건너갈 수 있다는 것을 일깨운다. 또한 독서는 나를 바라보는 시간을 갖게 하죠. 내가 갖고 있었던 것, 경험을 통해 얻은 것을 바라보는 시간이다. 독서는 그 파편들을 해석, 연결해 주고 파편의 각 점이 선으로, 선은 면으로 만들어진다. 이런 면들이 모여 나의 힘이 되고 삶의 무기가 되는 것이다. 2. 책의 선정 1) 책선정 실패 줄이기 어떤 책을 읽을까 선정할 때 아래의 사항을 고려해서 선정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표지. 저자. 목차 출반사 서평 독자 서평 2) 커리큘럼 설계 가. 쉬운 책을 통해 기초지식 쌓기 나... 2022.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