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기타 북리뷰

‘몰입2’(저자 황농문) 후기 3/두뇌활용법의 핵심/몰입과 아이디어/직장생활에서 몰입활용법/고민과 생각의 차이

by 100점짜리 인생 2022. 7. 11.
반응형

<P. 159> 몰입과 영성의 친밀한 관계

누군가를 사랑하면 다량의 도파민과
긍정적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된다.

사랑의 감정이 더 강해지면 신성함을 느끼고
이는 종교적인 감정에 가까워진다.

긍정적 화학물질이 분비되면 긍정적 감정이 생긴다.
이때 우리 뇌는 우리가 긍정적 감정을 갖게 된
합당한 이유를 찾는다.

뇌과학에 의하면 우리 뇌는 감정과 현실을 일치시려는
경향을 갖는다고 한다. 내가 우울하면 세상이 어둡게 보이고, 내가 즐거우면 세상이 밝게 보이는 것이다.

나는 연구에 몰입하면 연구의 세계뿐 아니라 이 세상 전체가 아름답게 보이는데 이 역시 긍정적 화학물질의 분비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경험은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데 있어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행복한 감정은 뇌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세로토닌은 행복호르몬이라고 불릴 정도로 행복이라는 감정과 깊이 관여한다. 긍정적 화확물질의 분비를 유도하는 활동은 다양하다
영성활동, 규칙적인 운동, 자신의 업무에 집중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P. 176> 능동적으로 몰입하는 방법 3가지
첫째, 새로운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둘째, 슬로우 씽킹을 활용해서 어떻게 하면 매출을 올릴 수 있을지에 대해 끈질기게 생각해야 한다.

셋째, 몰입의 장벽을 낮추기 위해 매일 1시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자신이 즐길 수 있고 땀을 흘릴 수 있는 운동이라면 무엇이든 좋다.

<P. 178> 고민과 생각의 차이

기업가들이 자나 깨나 사업에 대한 생각을 하는 이유는
대게 위기감이나 고민 때문이다.
즉 위기감이나 고민이 자꾸 사업에 관한 생각을 유도하고
그런 생각 끝에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얻게 되는 것.
이 관계를 잘 이해해야 한다.

많이 고민한 끝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자나 깨나 생각한 결과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고민은 단지 생각을 유도할 뿐이다. 그러므로
고민과 생각을 확실히 구분해야 한다. 고민이 지속되면 노이로제가 되고 스트레스와 병을 유발하지만,
올바른 방법으로 생각을 지속하면 부작용이 거의 없다.

고민의 비율을 줄이고 생각의 비율을 늘리기 위해서는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과 슬로우 씽킹의 습관을 길러야.

<P. 180> 몰입과 아이디어의 관계(두뇌활용법의 핵심)
우리 뇌는 목표로 한 것만 지향한다.
그러므로 뇌에 그 목표의 중요성을 전달하려면 진지한 마음을 가지고 반복해서 생각해야 한다.
아무리 절실해도 문제해결을 목표로 삼아 생각하지 않으면 우리 뇌의 목표지향 메커니즘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아무런 효과가 없다.

걱정을 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해야 문제가 해결된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내적 중요성이 올라가야 우리 뇌가 문제해결을 목표로 활발하게 작동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두뇌활용법의 핵심이다.

<P. 196> 몰입 상태에 떠오르는 아이디어
첫째, 몰입을 하면 평소에 관심이나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떤 다른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이나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둘째, 문제를 해결하는데 직접적으로 도움이되는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예전에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와 관련된 새로운 깨달음을 얻는다. 그래서 점점 답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확신한다.
셋째, 몰입을 하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정보의 출처가 떠오른다.

<P. 199> 몰입에 대해 자주 하는 질문들
1. 바쁜 직장인들 어떻게 몰입할까?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라. 어떤 일을 하는지보다 어떻게 일하는지가 중요하다.

2.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을 땐?
먼저 여러 가지 문제 중 한 가지를 선정한다. 이 문제를 A라고 하고, 앞에서 언급한 방식으로 대략 일주일 동안 자투리 시간에 몰입해보자. 역시 일과 후나 주말에는 아묵것도 하지 않고 오직 A만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렇게 해도 해결책이나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A에 대한 생각은 일단 접어두고 그 다음 주 부터는 다른 문제로 몰입의 대상을 바꾼다. 이런 식으로 계속 진행해서 머릿속에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10개 이상 있다고 치자. 그러면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빈도가 높아진다. 떠오르는 아이디어의 빈도는 문제의 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