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80) 나의 습관 성공 키워드
드롭박스의 공동창업자이자 CEO인
드류 하우스턴의 인생키워드
(테니스공, 동그라미, 30,000)
테니스공 : 집착에 가까울 정도로 몰일할 수 있는 '좋아하는 일'을 찾으라
동그라미 : 미국의 사업가이며
동기부여가인 짐론은
"우리는 가장 많이 어울리는 다섯 사람의 평균이 된다' 라고.
우리 주변에 누가 있는가가 중요하다.
30,000 : 인간이 평균 3만 일(약 82세)을 산다는 의미.
그러나 매일 하루를 의미있게 살아야 한다는 뜻.
(P.85) 누구나 쉽게 성공하는 습관 방정식
(시작이 쉬어야 한다)
습관 성공 방정식을 푸는 첫 번째 단서는
'시작이 쉬워야 한다'는 것이다.
'시작이 반이다'란 말은 마법같은 문장이다.
역설적으로 사람들은 그 만큼 시작을 힘들어 한다.
습관은 의지력이 아니라 올바른 전략이다.
시작이 쉬운 프로그램,
하루 10분 안에 습관 3개를 실천하는
목표를 작게 설정하고
매일의 실천 결과를 기록, 평가하여
메타인지를 향상하도록.
(P. 90) 습관을 실천해도 삶이 변하지 않는 이유.
(정체성 중심의 습관)
습관에는
결과중심의 습관과 정체성중심의
습관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결과 중심의 습관을 만들려고 한다.
결과만 만들려고, 욕심부리고, 조급하게 된다.
그러므로 습관 성공, 삶이 변하려면
정체성 중심 습관으로 해야 한다.
정체성, 즉
나는 어떤 가치를 중시하는지,
나는 어떤 사람인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살펴야 한다.
아들러의 심리학에서 배운 것.
꿈은 공산품이 아니라 수제품이어야 한다.
꿈은 임시방편으로 쉽게 날치기로
만들어지는 공산품이 아니다.
내 정성과 노력이 스며든
수제품이어야 한다.
진정한 꿈을 찾기 위한
고민을 하고,
이를 기초로 연간목표를 수립하고
그에 따른 습관목록을 수립,
재점검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P. 98)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정체성은 '나다움'을 찾는 일.
정신의학자 알프레드 아들러는 '나다움'을
이렇게 알려준다.
"과거 우리가 극복하려던 열등감이나
결핍감을 보여준다면,
미래는 그 에너지를 어디로 옮겨갈
것인지 방향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한 사람의 미래는
과거의 열등감과 결핍을 어떻게 해석하고
무엇을 실행에 옮기는가에 달려 있다"
열등감이나 결핍 속에서
왜곡된 초기 기억 속 상황,
열등감이 시작된 이유를 파악하고
과거를 다른 사람의 눈과 귀, 가슴으로
이해하고 재해석함으로써
잃어버린 정체성을 올바르게 수집하고
자아를 회복시켜준다고 설명한다.
(P. 105) 어떤 사람들이 변화에 성공하는가
중요한 것은 단순 실천율이 아니라 성공율
연속해서 2번은 거르지 않는다.
우리 뇌는 새로운 행동에
강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그런데 새로운 행동을 습관으로 옮길 때
안하는 날이 생기면 뇌는 다시
강한 거부감을 보이기 시작한다.
그래서 습관을 한번 거를 수 있지만
연속으로 2번은 거르지 않는다.
인간은 완벽할 수는 없지만
2번째 실수는 피할 수 있다.
<나의 습관 성공, 인생 키워드>
씨앗, 다눔, 드림 스토리
씨앗
인생은 씨앗과 같다.
씨앗은 매우 작다.
그러나 그 속에는
무한한 생명과 에너지가 있다.
무엇보다
다른 것과는 전혀 다른
그 만의 독특한 개별성과
고유함이 있다.
한 사람은 많은 사람 중
개인에 불과하고 미미하다.
씨앗과 같다.
게다가 사람은
다른 삼라만상과 달리
특별하고 고유한 개별성을 갖고 있다.
선한 양심과 이성, 아름다운 고귀한 영혼까지.
그 작은 씨앗이 심겨지면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특별한 꽃이 되고 삶이 된다.
이런 씨앗인 것을 믿을 때
자신감과 용기를 갖고
도전하게 된다.
다눔(다함께 나눔)
사람은 또한 사회적 존재이다.
나의 나 된 것은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와 이웃의
도움덕분이리라.
그리고 그 속에서
내가 경험과 배운 지식은
내 것이 아니다. 사회의 것이다.
나만 알고
나만의 것으로 누리라고
주어진 것이 아니다.
다 함께 나누는 것.
이것이 우리의 참된
삶이 모습이다.
드림 스토리.
사람에겐 저마다의 창이 있다.
희망과 긍정의 창으로 보면
절망과 고통의 시련은
단련의 시간으로 재해석된다.
어려움과 위기는
도약의 발판이 되고
성숙의 통로가 변모한다.
그 가운데서
나의 드림 스토리가
쓰여진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에겐
드림 스토리가 있다.
어두움과 한탄의 창으로만
나를 바라보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