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106) 심적 표상
체스 그랜드마스터와 눈가림 체스 사이의 이런 연관성이 사실은 체스 고수와 초보자를 가르고, 체스 말의 위치를 분석하고
가장 좋은 수를 찾아내는 고수들의 놀라운 능력을 가능하게 해주는 특유의 심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s)을 가리키는 중요한 단서임을 알 수 있다.
심적표상이란
사물, 관념, 정보, 이외에 구체적이든 추상적이든 뇌가 생각하고 있는 대상에 상응하는 심적 구조물이다.
간단한 예는 시각 이미지다.
예를 들어 모나리자 라고 하면
많은 사람이 즉시 머릿속에서 해당 그림의
이미지를 '본다'. 이때 머릿속에 떠오른 이미지가 모나리자에 대한 사람들의 심적 표상이다.
런던의 택시 운전사 지망생들이 런던 시내
어느 지점에서 어느 지점으로든 가장 효율적으로 이동하는 길을 찾는 방법을 공부하는 동안
그들이 사용한 방법은 점점 더 정교한 머릿속 도시지도를 만드는 것. 역시 심적 표상을 만들어낸 것이었다.
의식적인 연습으로 뇌에서 정확히
무엇이 바뀌었는가? 바로 심적표상이다.
전문가와 비전문가를 구분 짓는 핵심은,
전문가는 다년간의 연습으로
뇌의 신경조직망이 바뀌어 고도로
전문화된 심적표상을 만들 수 있고,
이런 심적표상 덕분에 놀라운 기억력
패턴 인식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이외에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
필요한 고도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에 따르면
성적이 뛰어난 학생일수록
자신이 언제 실수하는지, 특히 집중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어려운 부분이
어디인지를 파악하는 능력이 뛰어났다.
(P. 165) '의식적인 연습'의 7가지 원칙
1) 다른 사람들이 이미 방법을 알고 있고
그것을 위한 효과적인 훈련 기법이 수립되어 있는 기술을 연마하는 방법.
2) 개인의 컴포트 존을 벗어난 지점에서
진행되며 배우는 사람은 자신의 현재능력을
살짝 넘어서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시도.
3)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
4) 신중하고 계획적.
5)피드백과 피드백에 따른 행동 변경을 수반.
6)효과적인 심적 표상을 만들어냄.
7)기존에 습득한 기술의 특정 부분,집중개선.
여건이 허락된다면, 언제나 좋은 코치나
교사와 함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유능한 교사는 성공적인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알고 있으며,
이를 개별 학생들에게 맞춰 조정할 줄도 안다.
사람들이 전문가가 되기 위해 노력해온
잘 다져진 역사가 있는 어떤 분야에서도
성공하려면 오랜 시간에 걸친
엄청난 양의 노력이 투자되어야 한다.
정확히 1만 시간은 아닐지 몰라도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만은 사실이다.
우리는 자신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엄청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올바른 방법'으로 훈련하기만 하면 말이다.
이것이 내가 생각하는 핵심 메시지다.
(P. 216) 무엇을 아는가 보다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집중하라.
'의식적인 연습'은 지식보다 기술에 집중한다.
가장 효과가 떨어지는 활동은 '설교형교육'.
반면, 가장 효과적인 교육활동은
역할극, 집단토론, 사례 해결, 실전 훈련 등
쌍방향 요소를 지닌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실수를 저지르고,
이를 바로잡고, 서서히 새로운 기술을
발전시킬 기회를 갖는 것이다.
(P.222)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능력
미 육군 하급장교 대상으로 불의의 공격이나 기타 위험상황에서의
적응적 사고(adaptive thinking)를
가르치기 위해 '의식적인 연습'기법을 활용하여 '사령관처럼 생각하기 훈련 프로그램'(Think Like a Commander Training Program)을 개발하기도 했다.
(P. 240) 집중하고, 고치고, 반복하라
아무 생각 없이 같은 일을 반복하는 것은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한다.
반복의 목적은 약점을 찾고, 이를 개선하는데
집중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때까지 다양한 시도를
해보면서 말이다.
소위 3F를 명심하는 것이 좋다.
집중(Focus), 피드백(Feedback), 수정(Fix)
기술을 반복과 효과적인 분석이 가능한
구성 요소로 잘게 쪼갠 다음 자신의 약점을
파악하고 바로잡을 방법을 찾아라.
최고의 자리에 오른 사람들은
어떻게 1만 시간을 보내는가?
집중Focus, 피드백Feedback, 수정Fix.
'의식적인 연습'을 통한다면
당신도 극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효과적인 심적 표상을 만들어내는 유일한 방법은 전문가의 능력을 모방하려 노력하고,
실패하면 실패한 이유를 밝히고,
다시 시도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P. 379) 연습하는 인간, 호모 엑세르켄스.
현재 여러 영역에서 최고의 자리에 있는
이들이 선천적인 재능을 타고 났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몸과 뇌의 적응력을 십분 활용하면서 오랜 시간 연습한 결과로각자의 능력을 개발했기 때문에그런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나는 자기 개발에 힘쓸 때
사람이 가장 사람다워진다고 생각한다.
인간은 선택한 방향으로의 자기 개발을 위해
의식적으로 자신을 바꿀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인류는 호모 엑세르켄스(Homo exercens) 즉 '연습하는 인간'이다.
인류는 연습을 통해 삶을 통제하고
연습을 활용하여 원하는 것을 이루는 종이라는 의미에서 말이다.
'BOOK REVIEW > 기타 북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의 온도'(이기주)후기3 /사랑이란?/대체할 수 없는 존재, 아버지/ (0) | 2022.06.28 |
---|---|
'언어의 온도'후기(2)/참사랑을 하는 법/상대방을 잘 헤아리는 팁/사소한 것이 그 누군가에겐 길이 된다. (0) | 2022.06.19 |
이기주의 '언어의 온도'/말과 글에는 나름의 따뜻함과 차가움이 있다/말의 위로와 상처/말의 힘 (0) | 2022.06.10 |
'1만시간의 재발견'-노력은 왜 우리를 배신하는가' 후기1/ 서문,1장,2장/노력, 시간이 아니라 방법이다/뇌의 항상성, 적응력/의식적있는 (0) | 2022.06.02 |
'습관의 완성' 후기 4장과 5장/습관들이기 실패이유/ 습관성공, 승자의효과 인과의 법칙 (0) | 2022.05.21 |
댓글